기사 메일전송
화물연대 총파업 이틀째되면서 시멘트·철강 등 물류 ‘삐걱’
  • 김남주 기자
  • 등록 2022-11-25 15:05:35

기사수정
  • 머지않아 건설 현장 등에서 작업 차질 빚어질 우려 확산

민주노총 화물연대본부가 안전운임제 일몰제 폐지와 적용 품목 확대 등을 요구하면서 총파업에 들어간지 이틀째가 되면서 시멘트·철강 등의 운송에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민주노총 화물연대본부가 안전운임제 일몰제 폐지와 적용 품목 확대 등을 요구하면서 총파업에 들어간지 이틀째가 되면서 시멘트·철강 등의 운송에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사진=김남주 기자)25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전국 12개 항만의 컨테이너 장치율(63.5%)은 평시(64.5%) 수준을 유지하고 있지만, 전날 오후 5시부터 이날 오전 10시까지 컨테이너 반출입량은 1만 8086TEU로 평시(3만 6824TEU)의 49% 수준으로 로 떨어졌다. 컨테이너 장치율은 항만의 컨테이너 보관능력 대비 실제 보관된 컨테이너의 비율이다.


국토부는 또 자동차·철강·시멘트 등 각 협회에서 운송거부 신고가 접수된 건은 없다고 밝혔지만 산업통상자원부가 파업 첫날 업종별 영향을 점검한 결과, 시멘트와 철강 분야의 주요 업체별로 출하에 차질이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시멘트 업종의 경우 레미콘 등 최종 수요처의 적재능력이 통상 이틀 정도에 불과해 파업이 지속되면 머지않아 건설 현장 등에서 차질이 빚어질 거란 우려가 나오고 있다.


민주노총 화물연대본부가 안전운임제 일몰제 폐지와 적용 품목 확대 등을 요구하면서 총파업에 들어간지 이틀째가 되면서 시멘트·철강 등의 운송에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이에 정부는 주요 물류거점에 경찰력을 배치해 운송방해행위 등 불법행위를 차단하고, 군 위탁 컨테이너 수송 차량 50대를 대체 운송에 추가 투입했다. 경찰도 밤사이 화물연대 조합원의 교통 불편, 고성 행위 29건에 대해 현장 조치를 했다.


국토부는 집단운송거부 사태의 원만한 해결과 국가 경제 피해 최소화를 위해 전날 화물연대에 면담을 요청했다고 밝혔다. 면담 일시는 별도 협의할 예정이다.


원희룡 국토부 장관은 이날 부산항 임시사무소에 머물면서 항만 현장 상황을 점검했다.


이 자리에서 원 장관은 “정부에서 안전운임제와 관련해 화주 처벌조항 삭제를 추진한다는 건 전혀 사실이 아니다”라고 밝혔다.


그는 또 “정부는 컨테이너·시멘트에 대한 안전운임제의 일몰 3년 연장을 추진하겠다는 입장”이라며 “화물차주 분들의 어려운 처우를 개선하기 위한 제도 개선 등에도 적극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TAG

프로필이미지

김남주 기자 다른 기사 보기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