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18일 청와대 앞에서 코레일네트웍스 노동자 파업문제 해결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이 열리고 있다. (사진=안진우 기자)전국철도노동조합 코레일네트웍스지부와 철도고객센터지부(이하 철도자회사지부)가 지난 11일 총파업에 돌입한 지 14일차를 넘기고 있으며 기획재정부 앞 천막농성도 13일차를 넘기고 있다.
철도노조는 24일 성명을 발표하고 비정규직 노동자의 장기파업을 유도하는 정부와 코레일네트웍스를 규탄했다.
철도노조는 성명을 통해 “파업 8일차인 지난 11월 18일 시민사회단체들이 기자회견을 통해 이번 코레일네트웍스 노동자들의 파업이 문재인 정부의 공공부문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과 처우개선, 자회사 처우개선 정책의 진정성을 확인할 수 있는 리트머스 시험지라며 청와대가 문제 해결에 나설 것을 촉구했으나 여전히 책임 떠넘기기로 파업이 장기화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철도노조는 “기획재정부와 국토교통부는 물론이고 모기업인 한국철도까지 장기파업의 길목에 들어선 코레일네트웍스 파업사태 해결을 위한 적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지 않으며, 코레일네트웍스 사측은 파업 돌입 이후 지금까지 단 한차례도 파업사태 해결을 위한 노사교섭 재개 요청도 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러한 정부와 한국철도, 코레일네트웍스의 태도는 마치 자회사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장기파업을 유도하고 있는 것으로 비춰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노동조합 활동을 무력화하고 말살하려는 태도처럼 보인다고 비판했다.
이외에도 정부와 한국철도, 코레일네트웍스가 공공기관에서 버젓이 행해지는 자회사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저임금과 고용불안정을 방치하고, 더 나아가 정부가 발목을 잡고있는 공공기관 자회사 비정규직 노동자의 저임금 구조 개선을 외면한다면 철도노조의 전면적 저항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한편, 자회사지부는 수도권 등 코로나19 방역지침 2단계 발령에 따라 총파업 3주차 대규모 집회투쟁 계획을 재검토하고, 소규모 단위별 선전전과 조합원 교육활동으로 파업 일정을 진행할 예정이다.
이명철 기자 다른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