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제2 경부고속도로 현실화될까?
  • 이병문 기자
  • 등록 2007-06-01 20:22:24

기사수정
  • 4개 건설사, 정부에 제안… 東동탄신도시 관련 실현 '주목'
東동탄 신도시 건설과 관련, 수도권 교통 흐름에 큰 영향을 미칠 제2경부고속도로 건설 사업이 본격화될지 주목된다.

1일 건설교통부와 업계에 따르면 올들어 두산중공업 GS건설 대림산업 롯데건설 등 4사가 각각 민간 자본으로 경부고속도로 내 구간을 건설하겠다며 정부에 사업을 제안했다.

정부는 당초 이 도로 건설을 재정 사업으로 검토했으나 도로 예산이 갈수록 줄어들고 있어 민자도로로 사업방식 변경을 추진하고 있다.

민간 4사가 각각 제안한 수도권 제2경부축은 외곽순환도로 서하남나들목에서 출발해 용인, 안성을 거쳐 행정중심복합도시로 연결되는 노선 구조다.

두산중공업은 지난 1월 업계에서 처음으로 서하남나들목에서 오산까지 이어지는 46km구간 건설을 건교부에 제안했다.

이어 롯데건설이 충남 천안과 충남 연기군 행정도시(세종시)를 잇는 45km구간을, 3월에는 GS건설과 대림산업이 용인에서 연기군까지의 80km 구간을 각각 제안했다. GS와 대림 노선은 중복된다.

이들 민간 제안사업의 특징은 교통정체가 극심한 경부고속도로 서울~안성 구간의 대체노선으로서의 역할을 강조한 점이다. 또 경부와 중부고속도로 중간에 위치하며 경부축 동쪽의 접근성을 높였다.

특히 1일 東동탄 신도시 건설이 발표되면서 신도시 건설도 제2경부선을 고려한 것 아니냐는 분석을 낳고 있다. 東동탄신도시는 민간이 제안한 제2외곽순환도로나 제2경부고속도로 주변이다.

이용섭 건교부장관은 東동탄 신도시 건설을 발표하면서 교통대책 마련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강조했다. 경부고속도로는 현재도 수도권 남부 출퇴근자들의 통근용 도로로 전락했는데 東동탄 신도시가 건설되면 더더욱 새 고속도로 건설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정부가 신도시 개발에 수반되는 광역교통개선대책으로 제2경부고속도로를 포함해 추진할 것이라는 분석을 낳고 있다. 실제로 외곽순환고속도로의 경우 분당 일산 등 1기신도시 단지계획을 감안해 노선을 조정하거나 사업시기를 앞당겼다.

업계 관계자는 "정부가 신도시 개발사업과 고속도로 사업을 연계해 도로 사업비의 일부를 신도시 개발이익으로 조달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제2경부고속도로사업의 본격화 여부는 정권 교체 변수가 가장 큰 걸림돌로 지적된다. 건교부는 일단 민자 사업을 제안받고 있지만 올 연말 나올 '수도권 고속도로망 정비계획'이란 큰 밑그림을 바탕으로 구체적인 노선을 선정하겠다는 구상이다.

건교부 관계자는 "제2경부고속도로와 관련해 정부 차원에서 현재 구체적으로 검토하는 것은 아직 없다"면서 "연말 상위계획이 나온 뒤 내년 봄에야 민자 사업의 채택 여부를 결정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건설업계는 제2경부고속도로가 초대형 사업이라는 점에서 건교부가 현 정권보다는 차기 정권에서 청사진을 제시하기 위한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한편 고 정주영 현대 회장이 지난 92년 대선 공약으로 내세웠던 경부고속도로 복층화론도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당시에는 막대한 건설공사비에 비해 소통 효과가 크지 않다는 점에서 주목을 받지 못했다.

하지만 수도권 땅값 급등으로 도로용지 보상비가 천문학적으로 올라가자 복층화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2004년 국토연구원 조사에 따르면 제2경부고속도로 총사업비 4조6천억원 가운데 토지보상비만 1조3천억원으로 추산됐다.

최근 한나라당 대선 경선출마를 선언한 홍준표 의원은 경부고속도로 복층화를 공약으로 내세우기도 했다.

프로필이미지

이병문 기자 다른 기사 보기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