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자동차 견인요금 과다 청구 피해 많아
  • 김봉환
  • 등록 2014-08-21 21:58:01

기사수정
  • 소비자원, 견인서비스 피해접수 중 74% 차지
차량 사고나 고장 발생 시 이용할 수밖에 없는 견인서비스와 관련된 소비자 피해가 해마다 끊이지 않고 있어 소비자들의 주의가 필요하다.

20일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자동차 견인서비스 관련 소비자 피해가 매년 500건 이상 접수돼 2012년부터 올해 7월까지 총 1362건에 달했다.

견인서비스 관련 피해를 유형별로 분석한 결과, ‘견인 운임·요금 과다 청구’로 인한 피해가 1004건(73.7%)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견인 중 차량 파손’으로 인한 피해가 88건(6.5%)이 접수됐다. 견인 중 견인사업자의 과실로 차량이 파손될 경우 손해액을 배상해야 하지만 일부 견인사업자들은 이를 거부한 것으로 나타났다.

‘운전자 의사에 반한 견인’으로 인한 피해도 51건(3.7%)이 접수됐다. 견인사업자가 운전자 의사에 반해 견인을 하거나, 사고 등 급박한 상황으로 운전자가 의사 표시를 할 수 없는 상태에서 근거리가 아닌 원거리 소재 정비공장으로 견인한 경우다.

이 외에도 견인차량을 보관한 경우 국토교통부 신고요금보다 ‘보관료를 과다 청구’한 경우가 39건(2.9%) 이었고, 견인된 차량 수리 시 소유자 또는 운전자로부터 동의를 구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진행한 ‘임의 해체 및 정비’ 피해가 25건(1.8%)에 달했다.

한국소비자원은 자동차 견인서비스를 이용하게 될 경우 ▲국토교통부에 신고된 운임·요금표 기준대로 견인 요금을 요구하는지 확인하고 ▲가급적 자동차보험에 가입된 보험회사의 견인서비스를 이용하며 ▲믿을 만한 정비공장으로 견인을 요청할 것을 당부했다.

또 ▲차량을 찾을 때 외관 손상 등 차량 파손 여부를 꼼꼼히 확인하고 ▲부당한 견인요금을 강요할 경우 영수증을 받아 관할구청 등에 신고할 것을 당부했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